설계 내용에 대한 경제성 및 현장 적용 타당성을
기능별, 대안 별로 검토
ANU CM의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발주자의 이익을 극대화 시켜드립니다.
-
01
최저의 생애주기 비용(Life Cycle Cost)으로
최상의 가치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,
수행되는 프로젝트의 기능분석을 통해
대안을 창출하는 노력으로서,
여러 전문분야의 협력을 통하여 수행되는
체계적인 프로세스로 정의됨 -
02
설계 VE 추진 방법에 대한
대소간의 개선을 통해
많은 아이디어 발굴을 유도 -
03
사용자와 주무관청의
요구사항을 엄밀히 분석하여
설계 VE 검토 시 반영하고,
원 설계자의 의도를
충분히 검토, 고려토록 함 -
04
도출된 아이디어의
정량화를 위해 VE Job Plan의
체계적인 VE 적용 절차에 따라
최대한의 가치창출 노력을 수행
-
최적의
VE팀 구성각 분야별 최고 전문가 및
풍부한 경험의 VE팀 리더,
자문 및 감수 등으로
최적의 Team을 구성 -
각종
자료활용·설계 VE업무 메뉴얼 활용
·설계 VE/LCC 기준서 및
지침서 활용
·설계지침서 및 시방서 적용
-
VE
Workshop·체계적이고 효율적 VE
Workshop 수행
·Team Approach를 통한
창의적, 효율적 아이디어 모색 -
VE Job
Plan·과업의 특성을 고려한
아이디어 창출단계
·집중 Target으로 하는
Job Plan 계획
-
사용자
요구만족·발주처/사용자의 요구와 기대를
파악하여 그에 대응한 수준의 설계반영 -
최적
공법적용·최적 공법을 적용한공기단축 및
기능향상 설계계획
발주처와 이용당사자의 요구 성능을 만족시키면서
프로젝트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 대안 제시
- 대상시설물의 기본적 기능 규명, 기능에 대한 정략적 평가 및 대안의 상대적 가치 향상에 대한 객관적 평가
- 설계 전반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점검으로 설계 품질 향상
- 설계 VE / LCC 측면에서 유리한 대안 검토로 비용 절감 효과 기대



